64卦의 象傳要旨 周易64卦의 象傳 要旨 (上經30卦) 順 卦 卦名 象傳 1 ䷀ 重天乾 自彊不息 2 ䷁ 重地坤 厚德 載物 3 ䷂ 水雷屯 經綸 4 ䷃ 山水蒙 果行 育德 5 ䷄ 水天需 飮食宴樂 6 ䷅ 天水訟 作事謀始 7 ䷆ 地水師 容民畜衆 8 ䷇ 水地比 建萬國 親諸侯 9 ䷈ 風天小畜 懿文德 10 &#.. 주역/주역전의대전 2017.12.02
계사전 하 제9장 第 九 章 ○ 易之爲書也 原始要終하여 以爲質也하고 六爻相雜은 唯其時物也라. 역의 書됨은 사물의 시초 근원을 찾고 끝마침을 중요로히 하는 그로써 바탕을 삼고 六爻가 서로 섞이는 것은 오직 그 때의 일을 보여주는 것이다. [註] 質은 괘의 體를 말하고, 卦는 반듯이 終始를 든 다음에 .. 주역/주역전의대전 2017.04.10
계사전 하, 제8장 第 八 章 ○ 易之爲書也不可遠이요, 爲道也屢遷이라. 變動不居하여 周流六虛하여 上下无常하여 剛柔相易하여 不可爲典要요, 唯變所適이니, 易의 書됨이 가히 멀리 할 수 없으며, 道가 되는 것은 여러번 옮길 수 있다. 변동하여 한 곳이 있지 않고 六虛에 두루 흘러 위, 아래가 항상 없으.. 주역/주역전의대전 2017.03.09
계사전 하 제7장 第 七 章 ○ 易之興也其於中古乎인저. 作易者其有憂患乎인저. 是故로 履는 德之基也요, 謙은 德之柄也요, 復은 德之本也요, 恒은 德之固也요, 損은 德之修也요, 益은 德之裕也요, 困은 德之辨也요, 井은 德之地也요, 巽은 德之制也라. 역이 일어난 것은 중고시대이다. 역의 작자는 근심과.. 주역/주역전의대전 2017.03.05
계사전 하 제 6 장 第 六 章 ○ 子曰 乾坤은 其易之門邪인저. 乾은 陽物也요. 坤은 陰物也니 陰陽이 合德하여 而剛柔有體라. 以體天地撰하며 以通神明之德하니 其稱名也雜而不越하나 於稽其類엔 其衰世之意耶인저.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乾卦와 坤卦는 易의 門이다. 건괘는 陽氣의 물건이요, 곤괘는 .. 주역/주역전의대전 2017.02.27
계사전 하 제 5 장 第 五 章 ○ 易曰 憧憧往來면 朋從爾思라 하니 子曰 天下何思何慮리오, 天下同歸而殊塗하며 一致而百慮니 天下何思何慮리오. 易에 이르기를, ‘마음을 정하지 않고 왕래하면 벗이 너의 뜻을 따르리라.’ 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천하가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염려하리오. .. 주역/주역전의대전 2017.02.06
계사전 하 제 3,4 장 第 三 章 ○ 是故로 易者는 象也니 象也者는 像也오. 이런 까닦으로 역(易)은 상(象)이다. 상(象)이란 것은 상(像)이다. [註] 易은 卦의 形으로 이치가 흡사한 것이다. ○ 彖者는 材也요, 爻者는 效天下之動者야니, 彖이란 것은 材이요, 爻란 것은 천하의 움직임을 본받는 것이니, [註] 彖은 .. 주역/주역전의대전 2017.01.06
계사전 하 제2장 第 二 章 ○ 古者包犧氏之王天下也에 仰則觀象於天하고 俯則觀法於地하며 觀鳥獸之文과 與地之宜하며 近取諸身하고 遠取諸物하여 於是에 始作八卦하여 以通神明之德하며 以類萬物之情하니, 옛적에 포희씨가 천하의 왕 노릇을 할 때에 우러르면 하늘의 象을 살펴보고, 구부리면 땅의 .. 주역/주역전의대전 2017.01.02
계사전 하. 제 1 장 繫辭傳 下 第 一 章 ○ 八卦成列하니 象在其中矣요, 因而重之하니 爻在其中矣오. 八卦가 열을 이루니 象이 그 간운데 있고, 인하여 이를 거듭하니 爻가 그 가운데 있는 것이다. [註] 列을 이룬다 한 것은 乾一 ☰, 兌二 ☱, 離三 ☲, 震四 ☳, 巽五 ☴, 坎六 ☵, 艮七 ☶, .. 주역/주역전의대전 2016.12.19
계사전 상 제 12장 第 十二 章 ○易曰 自天祐之라. 吉无不利라 하니 子曰 祐者는 助也니 天之所助者順也요, 人之所助者信也니 履信思乎順하고 又以尙賢也라. 是以自天祐之吉无不利也니라. 易에 말하기를, ‘하늘로부터 도우니 吉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다.’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돕는다는 것.. 주역/주역전의대전 2016.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