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중에서 4

천도(天道)

천도(天道) 이 때의 ‘천’이란 자연으로서의 푸른 하늘을 넘어서 초월적 우주의 주재요, 자연계의 총체로 인식되고 있다. 고대 중국에서의 천의 관념은 매우 다양하여 이미 ≪시경≫에서도 인격적인 천의 관념과 형이상학적인 천의 관념이 모두 나타나는데, 전자를 천명(天命)·천의(天意)라 한다면, 후자는 바로 천도(天道)·천리(天理)라 할 수 있다. 천도라는 말은 중국의 고대 문헌에서 대체로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첫째로는 자연의 법칙이라는 의미로서, ≪주역≫에, “하늘의 도(道)를 세워 음(陰)·양(陽)이라 한다”라고 할 때의 천도이다. 즉, 음양의 두 형식이 오고 가며 성장·소멸하여 천도가 운행한다는 것이다. 둘째로는 인도(人道)의 본원으로서, 성(誠)의 천도를 말한다. ≪중용≫에서 “성실한 것은..

좋은글 중에서 2021.01.19

노인별곡

老人別曲 오늘 인터넷을 여행하다가 우리 노인들에게 하고 싶은 말들을 모아놓은 ‘노인 필독서’글을 보고 느끼는 바가 있어 여기 옮기어 정리해 보았다. 이제 우리는 그 동안 이 세상에서 살아온 흔적들을 스스로 정리할 때가 되지 않았나 해서 ‘노인 별곡’이라 제목을 바꾸어 게재 한다. 아는 것도 모르는 척, 보았어도 못본 척 넘어가고, 내 주장 내세우며 누굴 가르치려 하지 말자. 너무 오래 살았다 느니, 하는 스스로를 죽음으로 불러들이는 말은 라지 말자. 살아 숨쉬는 것 만으로도 生의 歡喜가 아닌가?! 이제 老人의 節約은 더 이상 美德이 아니다. 있는 돈을 즐거운 마음으로 쓸 줄 알아야 따르는 사람이 많은 법. 축구에서 전·후반전을 훌륭히 마치고 이제 연장전에서 결승점 뽑을 욕심은 후배들에게 양보하고, 멋진 ..

좋은글 중에서 2021.01.18

적선소(積善梳) 이야기

좋은 글을 찾아 참고하고자 여기저기 뒤지고 공부하던중, 재미있는 글을 하나 발견했습니다. 사람의 생각이 얼마나 무한하며 풍부한가를 확인하고 제 자신도 놀랐기 때문입니다. 한자(漢字)에 ''얼레빗''을 가리키는 ''소(梳)''라는 글자가 있습니다. 얼레빗이란 나무로 만든 빗인데 재미로 한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적선소(積善梳)'' 이야기 어느 재벌회사가 영업부 지원자를 대상으로 나무로 만든 빗을 스님에게 팔고오라는 과제를 제시했더랍니다. 그러자 대부분 사람들이 머리 한줌 없는 스님에게 어떻게 빗을 파느냐며 포기하고 세 사람만이 도전하게 되었답니다. 면접관은 지금부터 열흘 동안 스님에게 나무빗을 팔고 난 뒤 그 결과를 보고하라고 하였답니다. 열흘이 지나고 세 사람이 돌아왔는데 이들의 판매실적은 각각 빗 ..

좋은글 중에서 2020.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