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주역노트

주역노트 25 (2020.04.01)

율길 2020. 4. 1. 09:01

주역노트 25

17. 澤雷隨 택뢰수

嚮晦入宴息

(, , 長男少女가 따르다.)

 

이사한다. 직장을 옮기다. 사업을 바꾸다. 때가 왔다. 개업하다.

가 되고 는 못()이 되어 못()속에서 우레()가 진동하니 못 속이 움직이는 이다.

上九이 있는 아래로 내려오고() 初六이 있는 위에 올라가 있으니() 보다 아래에 오는 것이다. 으로서 의 아래에 오는 것은 이 반드시 기뻐서 을 따르는 가 된다.

는 바름으로서 크게 통함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君子이 따르는 것이 되고, 자기는 더불어 남을 따르고, 일에 임하는 선택을 따르게 되니, 모두 이다. 따르는 그 를 얻으면 그로서 크게 통합을 이루게 된다. 무릇 을 따르고, 신하는 을 받들고, 배우는 자는 를 따르고, 일에 임하여서는 어른을 따르는, 이는 모두가 따르는 것이다. 는 그 이로움이 바르고 곧은데 있고, 는 그 바름을 얻은 연후에 크게 통할 수 있고, 허물이 없다. 그러나 반드시 곧은 데 이로움이 있어야 허물을 얻지 않는다. 만약 따르는 바가 바르지 않으면 비록 크게 통하지만 허물이 있음을 벗어나지 못한다. 통할 수 없고 바름을 얻지 못하면 가 되지 않으니 어찌 천하로 하여금 따를 수 있겠는가? 천하가 따르는 것은 때(). 그러므로 천하가 때에 따른다.’고했다. 군자의 도는 때()에 따라 움직이며, 마땅히 변화에 맞게 따르는 것이다.

君子가 낮에는 안에 있지 않고, 밤에는 밖에 있지 않으니 때를 따르는 . 즉 군자는 해가 저물면 집안에 들어가 편안히 쉰다.

 

卦 名

三才

正 位

爻辭

孔子

爻辭

之 卦

   ䷐

澤雷隨

 

  ☱

上外

上六

拘係

從維

25 ䷘ 天雷无妄

九五

孚嘉

正中

51 ䷲ 重雷震

九四

誠信

何咎

3 ䷂ 水雷屯

  ☳

下內

六三

求得

利貞

49 ䷰ 澤火革

六二

小子

丈夫

58 ䷹ 重澤兌

初九

有渝

出門

45 ䷬ 澤地萃

 

原文

 

隨 元亨 利貞 无咎.

彖曰 隨 剛來而下柔 動而說 隨. 大亨 貞 无咎 而天下隨時. 隨時之義 大矣哉.

象曰 澤中有雷 隨 君子以 嚮晦入宴息.

 

初九 官有渝 貞 吉 出門交 有功.

象曰 官有渝 從正 吉也. 出門交有功 不失也.

 

六二 係小子 失丈夫.

象曰 係小子 弗兼與也.

 

六三 係丈夫 失小子 隨 有求 得 利居貞.

象曰 係丈夫 志舍下也.

 

九四 隨 有獲 貞 凶. 有孚 在道 以明 何咎.

象曰 隨有獲 其義凶也. 有孚在道 明功也.

 

九五 孚于嘉 吉.

象曰 孚于嘉吉 位正中也.

 

上六 拘係之 乃從維之 王用亨于西山.

象曰 拘係之 上窮也.

 

用語解說

澤雷隨卦(택뇌수괘): 上經 17번째 上卦()이고. 下卦()이다. 兌卦(기쁨)이 되고 震卦(움직임)이 되니, 기뻐서 움직이고 움직이니 기쁘다. 少女(兌卦)로서 長男(震卦)를 쫓는 이니 의 뜻이다.

嚮晦入宴息(향회입연식): 날이 저물면 집에 들어가 편안히 쉰다.

志舍下(지사하): 뜻이 아래를 버리는 것.

隨時義(수시의): 때에 따르는 도의.

'주역 > 주역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노트 27  (0) 2020.04.03
주역노트 26  (0) 2020.04.02
주역노트 24  (0) 2020.03.31
주역노트 23  (0) 2020.03.30
주역노트 22  (0) 2020.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