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화서 이항로 기념관 방문

율길 2015. 5. 5. 18:36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 생가를 가다.

   

화서 이항로(1792~1868) 선생은 경기도 양근(楊根) 벽계리(蘗溪里) (지금의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노문리 벽계마을)에서 벽진이씨(碧珍李氏) 우록헌(友鹿軒) 이회장(李晦章)2대 독자로 출생하였으며, 시호는 문경공(文敬公)이다.

조선말기 정직과 지조를 지닌 화서 선생은 의리와 고결한 선비상의 사표(師表)로서 부정과 불의를 간과하지 않았으며 나라가 위기에 처해서는 국가와 도의와 백성을 걱정하는 마음이 간절했던 선비였다. 때문에 물리적 불법적인 외세에 의하여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에는 도피하지 않고 현실에 참여함으로써 구국민족 운동의 효시를 이루는 선구자로 추앙되는 분이다.

유학자인 화서(華西) 선생은 3세 때 천자문을 배우고 6세 때 19사략(十九史略)을 읽을 정도로 학문에 밝았다. 또한 9세 때 부친 우록헌이 당세의 학자들과 함께 경사(經史)를 논할 때 주리론(主理論 )을 설파하여 좌중을 놀라게 하였다.

선생은 일평생 주자집주(朱子集註)와 우암 송시열의 송자대전(宋子大全)을 반복 독서하여 그 사상적 깊이를 더해 자신만의 독자적 이론을 구축하였다. 선생의 학문적 핵심이 되는 주리(主理)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은 이()와 기()는 엄연히 다른 두 개의 개념으로서, 이는 완전한 선()이고 기는 선과 불선(不善)으로 나뉘어 있고, 기는 이에 종속됨을 분명히 하였다. 이러한 종속 관계가 순조롭게 유지되느냐의 여부에 따라서 세계 질서가 순탄하게 진행되거나 파괴되기도 한다. 이 이론은 조선왕조의 정통적 질서와 서양세계의 제국주의적 침략간의 긴장 관계를 설명하는 주요한 배경이 되었다.

화서 선생은 정직(正直)은 사는 길이요, 사곡(邪曲)은 죽는 길이라고 하여 민족의 정체성을 강조하여 위정척사(衛正斥邪)의 강력한 실천이 도()를 실천하는 방법임을 제자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또한 그 정통성이 조선에 남아 있기에 세계사의 중심문화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이것은 자기 생존을 위한 문화적 자존의식으로 1866년 프랑스함대가 침범한 병인양요(丙寅洋擾)에 항전하였으며 아울러 오륜을 모르는 서학(西學)을 배격한 것이다.

화서 선생은 승정원 동부승지로서 조선이 앞으로 자주적으로 나아가기 위해 설정해야 하는 목표를 뚜렷하게 제시하였다. 선생의 사상을 흠모하고 따르며 유교의 전통을 지킬 것을 주장한 선비들은 보국양이(保國攘夷)와 위정척사(衛正斥邪)로 민족의 정통성을 살리려고 노력했다. 이론적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실천의 영역에서도 선생이 남기신 정신을 계승한 제자들이 수없이 많았다.

경기도 포천의 중암(重菴) 김평묵(金平默, 1819-1891), 강원도 춘천의 성재

(省齋) 류중교(柳重敎, 1832-1893), 평안도의 운암(雲菴) 박문일(朴文一, 1822-1894), 대마도에서 아사순국(餓死殉國)한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 1833-1906), 근대 항일 의병운동의 상징적 인물 의암(義菴) 류인석(柳麟錫, 1842-1915), 병인양요 때에 불란서 함대를 격퇴시킨 하거(荷居) 양헌수(梁憲洙, 1816-1888) 등 충효, 절의, 문장등 약 450여 명의 문하생이 배출되었다.

또한 이들 중에는 스승과 같이 강학(講學)활동을 통하여 수많은 제자를 양성하였으니 전국에 8천여명에 이르는 방대한 화서학파(華西學派)를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그 연원(淵源)가운데는 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 백암(白巖) 박은식(朴殷植, 1859-1925), 하얼빈에서 이토히로부미와 그 일행을 사살한 안중근(安重根, 1879-1910)의사, 안중근에게 권총과 거사 자금을 준 이진룡(李鎭龍, 1879-1918), 임시정부 주석으로 무장 독립 투쟁을 주도한 백범(白凡) 김구(金九, 1879-1949) 등 화서학파 1천여명이 한국근대 항일구국운동에 동참하였고 그 중에 약 1백여명이 순국. 순절하는 아픔을 겪었다.

화서선생님을 추모하기 위한 모임으로 1903년 문인 최익현, 류인석 등이 유림과 더불어 화서선생의 후사(後事)를 위하여 강수계(講修契)를 조직하였으며, 1943년 후학 김두운, 양명규등 평안도 선비들과 외예(外裔) 장기덕(張基德)

이 선생의 묘소에 묘표와 상석을 갖추었으며, 1954년 계유년에 강수계의 뜻을 받들어 외예 장기덕이 사재를 내고 사림(士林)의 협조를 얻어 노산사(蘆山祠)를 창건하였다. 화서선생님의 출생지에 위치한 노산사는 1977년 경기도 지방문화재 제43호로 지정되었으며, 1980년 선생의 구택(舊宅)이 경기도 지방문화재 제105호로 지정되었으며, 2000년에는 벽계강당(蘗溪講堂)과 화서기념관(華西紀念館)이 건립되었고, 2001년 사단법인 화서학회가 창립되어 선생의 업적과 사상에 대한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제월대(霽月臺) 노산사 정문앞의 위치한 돌에 제월대라 새겼는데 무게가 약 200근 정도로 갸름한 돌로 6.25전쟁때는 땅에 파묻어 보관했다가 노산사 창건과 함께 현위치에 옮겨 놓은 것이다. 그러나 이 돌은 진본이 아니고 비슷한 돌의 모조품이며 진본은 화서 기념관 에 보관되어 있다. 제월대라 전각한 상부에는 다음과 같은 명구가 정자로 새겨있다.

莫遣微雲 막견미운 조그마한 구름 이라도 보내서

點綴練光 점철연광 맑은 빛을 얼 룩지우지 말라

極虛極明 극허극명 지극히 순수하 고 지극히 명랑하여

以配太陽 이배태양 태양의 배우가 된다

丁未夏華西銘 정미하화서명 정미년 여름에 화서는 새기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