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성적도(孔子聖蹟圖)
공자성적도(孔子聖蹟圖)는 만세종사(萬世宗師)인 공자(孔子)의 일생 행적 중 중요한 사건과 일화를 그림과 설명한 것으로 성적도(聖蹟圖)라고 부른다. 특히 조선 시대는 공자의 가르침이 지대했으니, 만세사표(萬世師表)로서 왕을 비롯한 사대부의 도덕과 사회적 실천규범의 본원이 되었고 아울러 서민들의 생활과 교육지표의 구심점이었다.
성적도는 그림으로 그려진 공자전(孔子傳)으로 『論語』, 『사기(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 중니제자열전(仲尼弟子列傳), 공자가어(孔子家語)』 등이 참고자료가 되었다. 우리나라에 공자성적도가 전래된 시기는 자세히 상고하기는 어렵지만 신라 성덕왕 때 공자초상화가 유입된 기록으로 미루어 삼국시대 때 중국에 간 사신들에 의해 구입 전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 전해오는 성적도로는 국립중앙박믈관에 소장되어 있는 김진여(金振汝) 필사(筆寫) 성적도 10점과 동원선생수집기증품(東垣先生蒐集寄贈品) 공자성적도 55점이 있다. 또한 성균관대학교 박물관에 공자성적도 6점이 있으며, 궐리사(闕里祠) 소장 공자성적도 목판본 등이 있다.
☆공자 탄강일(孔子 誕降日) : 양력 9월 28일
☆공자 기신일(기일)(孔子 忌辰日) : 양력 5월 11일
선성소상(先聖小像)
공자와 안자의 모습을 그린 그림.
니산치도(尼山致禱)
모(母) 안징재(顔徵在)가 니구산에 기도를 드리고 공자를 낳다. 공자의 이름은 구(丘)요 자(字)는 중니(仲尼)이니 선대는 송(宋)나라 사람이다.
균천강성(鈞天降聖)
하늘이 공자의 탄생을 축복하여 노래를 보내다. 공자는 노나라 양공(襄公) 22년(BC.551) 경술년(庚戌年) 11월 경자일(庚子日)에 창평향(昌平鄕) 추읍(鄹邑)에서 태어나다. <양력 9월 28일 誕降>
조두예용(俎豆禮容)
아이가 되어 장난할 때에 항상 제기를 차려놓고 예를 행하는 용모(容貌)를 베풀었다.
직사위리(職司委吏)
곡식의 출납을 관리하는 위리의 직책을 맡다. 공자는 장성하여 위리(委吏)가 되어서는 료양(料量)을 공평하게 하셨다.
태묘문례(태묘문례)
공자가 처음 벼슬할 때 노나라 주공(周公)의 사당에 들어가 제사를 도울 때 매사를 질문했다. 혹자가 말하기를 “누가 추(鄹)땅 사람의 아들이 예를 안다고 하는가? 태묘에 들어가 매사를 묻는구나!.” 하였다. 공자께서는 이 말을 들으시고 “이것이 바로 예(禮)이다.”라고 하셨다.
관기론도(觀器論道)
그릇을 보고 도를 논하다. “비어 있으면 기울고, 절반을 채우면 바르게 서고, 가득 차면 뒤집어지니, 현명한 임금은 이것으로 경계를 삼았다.”
퇴수시서(退修詩書)
노나라 계씨(季氏)가 참람하고 그의 가신인 양호(陽虎)가 정권을 독단하자 공자는 벼슬하지 않고 물러나 시서(詩書)와 예악(禮樂)을 닦으니 제자들이 더욱 많아졌다.
협곡회재(夾谷會齊)
노나라 임금 정공(定公)을 도와 제나라 경공(景公)과 협곡(夾谷)에서 회담하여 제나라에게 빼앗긴 땅을 돌려받았다.
영공교영(靈公郊迎)
공자 나이 56세 때 노나라를 떠나 천하를 주유할 때 위(衛)나라 임금인 령공(靈公)이 교외에 나와 공자를 맞이했다.
광인해위(匡人解圍)
공자가 진(陳)나라를 가실 적에 광(匡)땅을 지났는데, 사람들이 양호로 오인하여 포위했으나 오해가 풀려 풀어주다.
자로문진(子路問津)
공자가 초(楚)나라로부터 채(蔡)나라로 돌아 오는 길에 자로가 밭을 갈고있는 장저(長沮)와 걸익(傑溺)에게 나루터를 묻다. 공자는 “천하에 도(道)가 있으면 내 더불어 변역시키려 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성문사과(聖門四科)
공자의 문하에 덕행, 언어, 정사, 학문에 뛰어난 네 무리의 제자가 있다. 제가가 3천명이었는데 몸소 육예(六藝: 禮樂射御書數)에 통달한 자는 72명이었다.
입묘치호(立廟置戶)
애공(哀公) 16년(BC.479) 임술(壬戌) 4월 기축일(己丑日)에 73세로 별세하셨다. 노나라 임금이 공자를 위해 사당을 세우고 관리자 백여 명을 두다.
<양력 5월 11일 忌辰(忌日)>
'성균관 활동 > 추기석전(秋期釋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 추기석전 (0) | 2015.09.19 |
---|---|
2015 춘기 석천 (0) | 2015.03.25 |
문묘일무(文廟佾舞) (0) | 2010.01.01 |
추기석전봉행에 집사로 참예 (0) | 2009.10.31 |
헌관 및 집사 천망록 (0) | 2009.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