繫辭傳上 第八章
○聖人이 有以見天下之賾하여 而擬諸其形容하며 象其物宜라. 是故謂之象이오.
聖人이 天下의 깊은 이치를 볼 수 있어 그 모든 것을 흡사하게 形容했으며, 그 物에 마땅함을 본뜬 것이다. 이런 까닭에 그것을 象이라고 말했다.
[註] 색(賾)은 어지럽게 석인 것이다. 象은 卦의 象이니 괘를 설명하는데 열거한 것과 같은 것이다.
○聖人이 有以見天下之動하여 而觀其會通하여 以行其典禮하며 繫辭焉하여 以斷其吉凶이라. 是故로 謂之爻니,
성인이 천하의 움직임을 볼 수 있어 그 모이고 통하는 것을 살펴보고 그로서 전례를 행하고 말을 지어 그로서 그 길흉을 판단한다. 이런 까닭에 그것을 爻라고 말한다.
[註] ‘會’는 이치가 모이는 바 가히 남기는 곳이 없는 것이고, ‘通’은 이치가 가히 행하여져 막힐대가 없는 것이니 마치 張子의 庖丁(포정)이 소(牛)를 解體하는 것과 같으니, 모이는 그 族(뼈와 살이 다 모여 붙은 것)이요, 통하면 비어있는 것이다.
○言天下之賾하되 而不可惡여며 言天下之至動하되 而不可亂也니.
천하의 지극히 깊은 이치를 말하되 가히 싫어하지 아니하며, 천하의 지극한 움직임을 말하되 가히 어지러워지지 아니하니,
[註] 惡은 싫어하는(厭) 것과 같다.
○擬之而後에 言하고 議之而後에 動하니 擬議하여 以成其變化하니라.
이를 비교한 다음에 말하고, 이를 논의한 뒤에 움직이니, 비교하고 논의하여 그로서 그 변화를 이루었다.
[註] 象을 살펴보고 말을 잘 玩味하는 것은 변하는 것을 살펴보고 占을 玩味하는 것이며, 이를 법으로 하여 행하는 것이니 이 이하로 七爻가 곧 그 例이다.
○鳴鶴이 在陰이어늘 箕子和之로다. 我有好爵하여 吾與爾靡之하 하니 子曰君子居其室하여 出其言에 善이면 則千里之外應之하나니 況其邇者乎여 居其室하여 出其言에 不善이면 則千里之外 違之하나니 況其邇者乎여 言出乎身하여 加乎民하며 行發乎邇하여 見乎遠하나니 言行은 君子之樞機니 樞機之發이 榮辱之主也라. 言行은 君子之所以動天之也니 可不愼乎아.
‘우는 鶴이 그늘에 있거늘 그 새끼가 화답하는도다. 나에게 좋은 벼슬이 있어서 내 노와 함께 한다.’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군자가 그 집에 居하여 그 나오는 말이 착하면 천리 밖에서도 이에 應하나니 하물며 그 가까운데 있는 자이랴. 그 집에 居하여 그 나오는 말이 善하지 않으면 千里 밖에서도 어기나니 하물며 그 가까운데 있는 者이랴. 말이란 것은 자신으로부터 나와 백성에게 더하여지고 行하는 것은 가까운 데서 發하여 먼 곳에 나타난다.’ 하셨다. 말과 행실은 君子의 樞機다. 樞機가 發하는 것은 영화롭고 욕됨이 주체이다. 말과 행실은 군자가 소이; 天地를 움직이는 것이니 가히 삼가지 않을 수 있겠는가?
[註] 風澤中孚 卦䷼ 의 九二爻의 뜻을 풀이한 것이다.
○同人이 先號咷而後笑라 하니 子曰君子之道或出或處或黙或語나 二人이 同心하니 其利斷金이로다. 同心之言이 其臭如蘭이로다.
‘동인이 먼저는 울부짓고 나중에는 웃는다.’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준자의 도는 혹 나아가고, 혹 처해 있고, 혹 침묵하고, 혹 말하나 두 사람의 마음을 같게 한다. 그 예리함이 쇠도 끊으리라. 마음을 같게하는 그 말과 냄새가 난초와 같다.’ 하였다.
[註] 天火同人 卦 ䷌ 의 九五爻의 뜻을 풀이한 것이다. 君子의 道는 처음에는 같지 않은 것 같으나 나중에는 實로 틈이 없다. RM 예리함이 쇠를 끊고, ‘그 냄새가 난초와 같다.’는 것은 사물에 능히 틈이 없는 것을 말하고, 말은 맛이 있는 것을 말한 것이다.
○初六籍用白茅니 无咎하니라. 子曰苟錯諸地라도 而可矣어늘 籍之用茅하니 何咎之有리요, 愼之至也라. 夫茅之爲物이 薄而用은 可重也니 信所術也하여 以往이면 其无所失矣리라.
‘初六은 땅에 까는 것으로 白茅를 使用한다. 허물이 없다.’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진실로 이것을 땅에 놓아도 좋거늘 白茅를 사용하여 깐다하니 무슨 허물이 있으리오. 삼삼이 지극한 것이다. 대저 白茅의 物이라 하는 것은 얇으나 쓰임은 가히 중한 것이니, 이 법을 믿어서 그로서 나아간다면 잃은 바가 없으리라.
[註] 澤風大過 卦 ䷛ 의 初六爻의 뜻을 풀이한 것이다.
○勞謙이니 君子有終이니 吉하니라. 子曰 勞而不伐하며 有功而不德이니 厚之至也니 言以其功下人者也라. 德言盛이요, 禮言恭이니 謙也者는 致恭하여 以存其位者也라.
‘수고하고도 겸손하니 군자는 끝마침이 있다. 吉하다.’ 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수고하여도 다른 사람에게 자랑하지 않으며, 공적이 있어도 자기의 德으로 하지 않는 것은 돈후한 마음가짐이 지극한 것이니 이로서 그 功을 남에게 낮추는 것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德은 마음이 盛大함을 말하고, 禮는 행실이 공손함을 말한다. 겸손하다한 것은 공손함을 이루어 그로서 그 位를 보존하는 것이다.
[註] 地山謙 卦 ䷎ 의 九三爻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德은 마음이 盛大함을 말하고, 禮는 그 행실을 공손하게 하고 싶어 하는 것이다.
○亢龍이 有悔라 하니 子曰貴而无位하며 高而无民하며 賢人이 在下位而无輔라 是以動而有悔也니라.
‘높이 오른 龍이니 後悔함이 있다.’ 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지극히 존귀하나 그 이상은 位가 없고, 너무 높은 位에 있어도 따르는 백성이 없으며, 현명한 사람이 너무 下位에 있어도 보필할 수가 없다. 이로써 움직여 極한 데 있으면 후회가 있는 것이다.
[註] 重天乾 卦 ䷀ 의 上九爻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文言에 속하는 것이 마땅하다. 이는 대개 거듭낸 것이다.
○不出戶庭이면 无咎라 하니 子曰 亂之所生也則言語以爲階니 君不密則失臣하며 臣不密則失身하며 幾事不密則害成하니라. 是以君子愼密而不出也하나니라.
‘戶庭을 나가지 않으면 허물이 없다.’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어지러움이 생기는 것은 경솔한 말이 재앙의 단서가 된는 것이니, 君이 말을 잘못하여 비밀을 지키지 않으면 자신을 보필하는 신하을 잃고, 신하가 말을 잘못하여 비밀을 지키지 않으면 그 자신의 생명을 잃으며, 기밀한 일에 비밀을 지키지 않으면 害가 된다.’ 이로써 군자는 비밀을 삼가고 경솔하게 발설하지 않는다.
[註] 水澤節 卦 ䷹ 의 初九爻의 뜻을 풀이한 것이다.
○子曰 作易者 其知盜乎인저. 易曰 負且乘이라. 致寇至라 하니 負也者는 小人之事也요, 乘也者는 君子之器也니 小人而乘君子之器라. 盜思奪之矣며 上을 慢하고 下를 暴라. 盜思伐之矣니 慢藏이 誨盜며 治容이 誨淫이니 易曰 負且乘致寇至라 하니 盜之招也라.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易을 지은 者는 그 도적을 알고 있었는가?’ 하였다. 易에 이르기를, ‘짐을 진 자가 또 수레를 탄다. 도둑을 이르게 한다.’하였다. 짐을 등에 진다는 것은 소인의 일이요, 수례를 탄다는 것은 군자가 사용하는 기구이다. 소인이 군자의 기구를 탔으니 도둑이 그것을 빼앗으려고 생각하며 윗사람이 교만하고 아랫사람이 사나우면 도둑이 그 문란한 틈을 이용하여 이를 쳐서 빼앗을 생각을 하니 감추기를 태만하면 도둑질을 가르치는 것이요, 여자가 얼굴을 지나치게 꾸미는 것은 남자들에게 음란함을 가르치는 것이니 易에 이르기를, ‘짐을 질자는 또 수례를 탄다. 도둑을 이르게 한다.’하였다. 이것은 도둑을 불러들이는 뜻이다.
[註] 雷水解 卦 ䷧ 의 六三爻의 뜻을 풀이한 것이다.
※이 章은 卦爻의 쓰임을 말한 것이다.
資料參考 : 周易 附諺解(全四冊) (學民文化社), 原本周易 (일신서적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