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노트 04 (2020.03.11.)
二. 先天易과 後天易
先天易의 特性
①天地自然의 窮極的 原理
②自然之妙, 太極.
③象數의 體
④河圖와 伏羲易의 8掛圖
2. 後天易의 特性
①天地自然의 人道的 運用
②人爲之用, 陰陽, 人間의 制度
③象數의 用
②洛書와 文王易의 64卦의 卦辭
3. 先天易의 中心人物과 內容
① 伏羲의 河圖와 圓圖
②孔子의 太極과 孟子의 故.
③後漢 魏伯陽의 『周易參同契』
④北宋 邵雍(康節)의 象數易
⑤南宋 朱子의 『周易本義』 (古易)
4. 後天易의 中心人物과 內容
①洛書의 洪範九疇(아래 참조)
②文王의 2圖와 64卦의 卦辭
③周公의 64卦의 爻辭
④孔子의 十翼과 義理易
⑤南宋 程子(伊川)의 『周易程傳』 (今易)
5. 先天易과 後天易의 相互補完의 重要性
(1) 今易의 淵源
①天地自然의 易
②伏羲易
③文王易
④周公易
⑤孔子易
(2) 今易의 特性
①自然原理로 存在
②伏羲易은 文字없이 圖와 畵만 있음.
③文王易은 文字로 說明
④周公易 〃
⑤孔子易 〃
(3) 先天易의 明體와 後天易의 致用
(4) 象數易과 義理易의 相互補完
(5) 占筮易과 義理易의 相互補完
(6) 周易은 이상의 先天易과 後天易의 變化過程과 說明內容을 正確하게 認識하여 이를 基盤으로 64卦의 具體的 狀況 속에서 活看의 姿勢로 올바르게 理解하고 活用함이 重要함,
(7) 相生의 原理
水生木,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金生水
(8) 주역에서 用九와 用六
用九 : 生數에서 陽數의 合(1+3+5=9)
用六 : 生數에서 陰數의 合(2+4=6)
(9) 太極에서 八卦로의 變化過程과 해당 숫자.
太極(5, 10)
↓
兩儀: 陽(1, 3, 7, 9). 陰(2, 4, 6, 8)
↓
四象: 太陽(1, 9), 少陰(2, 8), 少揚(3, 7), 太陰(4, 6).
↓
八卦: 乾(9, 老陽, 父), 兌(1, 少陰, 小女), 離(8, 少陰, 中女), 震(2, 少陽, 長男)
巽(3, 少陰, 長女), 坎(7, 少陽, 中男), 艮(4, 少陽, 小南), 坤(6, 老陰, 母)
(10) 太極旗의 四卦
乾(9 老陽, 父), 離(8 少陰, 中女), 坎(7, 少陽, 中男), 坤(6, 老陰, 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