繫辭傳上 第三章
〇彖者는 言乎象者也요, 爻者는 言乎變者也요
彖이란 것은 象을 말한 것이요, 爻란 것은 변하는 것을 말한 것이다.
❲註❳ 彖(단)은 卦辭(괘사)를 말한 것으로 文王이 지은 석이요, 爻는 효사를 말한 것으로 周公이 지은 것이요. 象은 卦 全體를 말한 것이며, ‘변한다’는 것은 一節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〇吉凶者는 言乎其失得也요, 悔吝者는 言乎其小疵也요, 无咎者는 善補過也니,
吉凶이라는 것은 그 잃고 얻는 것을 말하는 것이요, 悔吝(회린)이라는 것은 그 작은 흠을 말하는 것이요, 无咎(무구)라는 것은 善으로 허물을 보충하는 것이다.
❲註❳ 이는 卦 · 爻辭의 通例이다.
〇是故로 列貴賤者는 存乎位하고 齊小大者는 存乎卦하고, 辯吉凶者는 存乎辭하고.
이런 까닭으로 귀하고 천한 것을 벌려놓은 것은 괘에 있고, 길흉을 분별하는 것은 말(辭)에 있다.
❲註❳ 位는 六爻의 자리를 말한다. 齊는 定의 뜻과 같다. 小는 陰을 말하고 大는 陽을 말한다.
〇憂悔吝者는 存乎介하고, 震无咎者는 存乎悔하니,
뉘우치고 부끄러워함은 근심하는 것은 善惡을 구별하는데 있고, 허물이 없다고 큰소리치는 것은 뉘우침에 있으니,
❲註❳ 介(개)는 분별하는 단서를 말한 것으로, 대개 善惡이 이미 움직여 形體가 아직 나타나지 않은 때이다. 이에 근심을 하면 뉘우치는 부끄러움에 이르지 않는 것이다. 震(진)은 움직이는 것이니 뉘우칠 줄 알면 행동으로써 그 허물을 보충하는 마음이 있어 그로서 가히 허물이 없는 것이다.
○是故로 卦有小大하여 辭有險易하니 辭也者는 各指其所之니라.
이런 까닭으로 괘의 크고 작은 것이 있으며 말에는 험하고 쉬운 것이 있으니 말이란 것은 각각 그 가는 바를 가리켰다.
[註] 小는 險하고, 大는 쉬운 것이니 각각 향하는 바를 따른 것이다.
※ 이 장은 괘, 효사의 통례를 풀이한 것이다.
資料參考 : 周易 附諺解(全四冊) (學民文化社), 原本周易 (일신서적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