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주역전의대전

주역강좌 8

율길 2016. 5. 6. 09:39




점치는 방법 (설시법:揲蓍法)

 

*시초(蓍草): 명협(蓂莢)이라고 하는 쑥 같은 모양의 풀로 달력풀 또는 책력풀이라고 함. 한 길 정도의 크기로 줄기가 100(50개가 짝), 임금때 났다는 전설상의 시초는 초하루부터 보름까지 잎이 하나씩 났다가 그 후 그믐까지 떨어져 날짜 가는 것을 알았다고 함 (구하기 어려우므로 대나무 살로 만든 筮竹을 많이 사용)

 

(1) 서죽 50개를 양손으로 잡고 향불의 김을 씌움. 축문을 읽음

(학생 김00~~일로써 이에 물으니 어떻겠습니까?)

 

(2) 서죽 50개에서 오른 손으로 1개를 뽑아 놓음(太極 상징)

한 집안의 어른은 하는 일 없이 사는 사람이므로 태극의 상징으로 빼는 것임

 

(3) 서죽 49개를 자연스럽게 반으로 나누어 책상위에 놓음 (兩儀 상징)

 

(4) 책상위에 있는 왼쪽의 은 왼 손으로 잡아들고, 오른손으로 오른쪽의 책에서 하나를 뽑아서 왼쪽 손의 끝 손가락 사이에 끼움 (삼재 상징) [掛一]

 

(5) 왼쪽의 책 묶음에서 4개씩을 세어서 책상위에 놓음 (四象 상징)

남은 수를 왼쪽 손의 끝에서 둘째손가락 사이에 끼움(三歲一閏(3년의 1윤달)을 상징) [初扐: 세고 남은 것 명칭]

*남는 것이 없는 경우 4개가 됨(O는 없음)

(실례)3

 

(6) 책상에 있는 오른쪽 책을 들어 왼쪽 손에 쥐고 또 4개씩을 세어 책상위에 놓고

남는 수를 왼쪽 손의 셋째손가락 사이에 끼움 [再扐]

(실례)1

*초륵이 1개면 재륵은 3개로서 두 개의 합이 4개임(4개 되는 방식은 3가지임)

*초륵이 4개면 재륵도 4개로서 두 개의 합이 8개임(8개 되는 방식은 1가지임)

 

(7) 최초에 뽑은 1개와 초륵과 재륵의 남은 책수를 모두 합쳐서 책상에 놓음[1]

*세개의 책수를 모두 합치면 5개의 책수 아니면 9개의 책수가 됨

*5개의 책수는 작은 수의 奇數가 되며, 9개의 책수는 는 많은 수의 偶數가 됨

(실례)5개의 책수(1(삼재)+3(초륵)+1(재륵)=5)

 

(8) 나머지 책(49개에서 5개를 뺀 44)를 자연스럽게 반을 나누어 책상위에 놓고 오른 쪽의 책에서 하나를 뽑아 왼쪽 손의 끝 손가락 사이에 끼움[掛一]

 

(9) 왼쪽의 책 묶음에서 4개씩을 세어서 책상위에 놓고 남은 수를 왼쪽 손의 끝에 서 둘째손가락 사이에 끼움[初扐]

(실례)4

 

(10) 책상위에 있는 오른쪽 책을 들어 왼쪽 손에 쥐고 또 4개씩을 세어 책상위에 놓고 남는 수를 왼쪽 손의 셋째손가락 사이에 끼움 [再扐]

(실례)4

 

(11) 최초에 뽑은 1개와 초륵과 재륵의 남은 책수를 모두 합쳐서 책상에 놓음

[2]

*세개의 책수를 모두 합치면 4개의 책수 아니면 8개의 책수가 됨

(실례)4개의 책수

 

(12) 1변과 2변의 책수를 제외한 나머지 책수로 다시 위의 방법으로 반복함 [3]

(실례)8개의 책수

 

(13) 3변으로 나온 수를 아래 대조표를 이용해서 해당 괘를 찾아냄

(실례)1의 총5+ 2변의 총4+ 3변의 총8(548)에 해당되는 것을 아래의 도표에서 찾으면 少陰에 해당됨) (64괘의 初爻가 됨)

 

*대조표

(445,老陽) (총합은 13책수로 49책수에서 13책수를 빼면 36책수가 남음)

(845,少陰) (총합은 17책수로 49책수에서 17책수를 빼면 32책수가 남음)

(485,少陰) (총합은 17책수로 49책수에서 13책수를 빼면 32책수가 남음)

(885,少陽) (총합은 21책수로 49책수에서 13책수를 빼면 28책수가 남음)

(449,少陰) (총합은 17책수로 49책수에서 17책수를 빼면 32책수가 남음)

(849,少陽) (총합은 21책수로 49책수에서 21책수를 빼면 28책수가 남음)

(489,少陽) (총합은 21책수로 49책수에서 21책수를 빼면 28책수가 남음)

(889,老陰) (총합은 25책수로 49책수에서 25책수를 빼면 24책수가 남음)

*老陽()老陰()하는 것임

*華西省齋는 이를 중탁단교(重坼單交)”라고 함. 이요, 少陰의 짜개짐이요, 少陽의 연결됨이요, 을 의미함

 

(14) 위의 방법으로 9번 반복하면 3內卦小成卦가 되며, 다시 9번 반복하면 3外卦가 갖추어져 大成卦가 됨 (本卦가 됨)

 

괘의 변화를 보는 방법

*위에 설시(揲蓍)를 하여 나온 얻은 本卦老陽老陰을 보아 여러가지 변화됨을 살피는 방법

 

1. 지괘(之卦): 본괘의 변화될 미래를 살펴봄

:本卦에서 老陽老陰으로 변화된 之卦(用卦)를 다음과 같이 살펴봄

본괘 중에 한 도 변하지 않았을 경우본괘의 卦辭, 彖傳, 大象傳 등을 봄

본괘 중에 한 가 변한 경우本卦의 변한 효의 爻辭小象傳의 내용을 로 하고 之卦의 해당되는 효의 爻辭小象傳으로 하여 봄

본괘 중에 두 가 변한 경우本卦의 변한 효 중에 위에서 변한 로 하 고 아래에서 변한 으로 하여 봄

본괘 중에 세 가 변한 경우本卦의 총론격인 괘사, 단전, 대상전의 내용을 로 하고 之卦의 총론격인 괘사, 단전, 대상전의 내용을 으로 하여 봄

본괘 중에 네 가 변한 경우之卦의 변하지 않은 효 중에서 아래의 효가 가 되고 위에 있는 효를 으로 하여 봄 (의 반대개념임)

본괘 중에 다섯 가 변한 경우之卦의 변하지 않은 효가 체로 하고 본괘의 변하지 않은 효를 용으로 하여 봄 (의 반대개념임)

본괘 중에 여섯 가 변한 경우之卦의 총론격인 괘사, 단전, 대상전 등을 봄

 

2. 호괘(互卦): 본괘의 내포된 의미를 살펴봄

:본괘에서 初爻上爻를 가리고, 234효를 下卦로 하고, 345효를 上卦 로 만들어 본괘에 담겨있는 의미를 파악함

(실례) 水雷屯卦()山地剝卦()

 

3. 배합괘(配合卦): 반대 입장을 살펴봄

본괘의 6효가 모두 반대되는 괘를 만들어 상반된 위치의 내용과 상황을 파악함

(실례) 風火家人卦()雷水解卦()

 

4. 도전괘(倒轉卦): 상괘와 하괘의 상호 관계성을 살펴봄

본괘의 上卦下卦를 반대되는 상괘와 하괘로 만들어 반대 입장의 상호 관계성 을 파악함

(실례) 風山漸卦()雷澤歸妹卦()

 

5. 착종괘(錯綜卦): 상괘와 하괘의 위치가 바뀐 괘를 살펴봄

(실례) 地天泰卦()天地否卦()

 

*위 내용 중 1(之卦)2(互卦)를 제일 많이 사용함

'주역 > 주역전의대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繫辭傳上 第二章  (0) 2016.06.22
주역강좌  (0) 2016.06.16
주역 강좌 7  (0) 2016.04.04
주역강좌 6  (0) 2016.02.02
주역강좌 5  (0) 2016.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