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농대제(先農大祭)의 유래
선농(先農)의 기원을 상고해 보면 신라 때 입춘(立春)뒤 첫 해일(亥日)에 명활성(明活城)의 남쪽 웅살곡(熊殺谷)에서 선농대제를 지냈으며 입하(立夏)뒤 해일(亥日)에는 산원(蒜園)에서 후농제(後農祭)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으며 고려시대 성종 2년(983년) 정월에 왕이 원구단(圜丘壇)에서 기곡제(祈穀祭)를 지내고 몸소 적전(藉田)을 갈며 신농(神農)에게 제사하고 후직(后稷)을 배향(配享)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선농(先農)은 신라(新羅)때부터 비롯되었으나 신농(神農)과 후직(后稷)을 제향(祭享)한 것은 고려 성종(成宗)때부터 비롯된 것으로 짐작된다.
선농단(先農壇) 친경(親耕)은 조선조(朝鮮朝) 마지막 황제인 순종 융희 4년(1910년) 5월에도 행하였으나 일제의 치하에 들어가면서 폐지되었으며, 그러다가 1979년부터 제기동의 뜻있는 분들이 선농단친목회(先農壇親睦會)를 구성하여 선인들의 뜻을 되새기기 위해 1년에 한 번씩 이 단에서 치제를 올리다가 1992년부터 동대문구(東大門區)와 선농대제(先農大祭)로 봉행하고 있다.
-2019 선농대제 안내 팜프렛에서-
'선농대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도 선농대제 봉행 (0) | 2018.04.22 |
---|